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4일(현지시간)부터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관세를 전면적으로 부과키로 하면서 이들 국가 간 관세 전쟁이 격화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시작되는 데 따른 주식시장의 반응도
주목되고 있습니다.
2018년 트럼프 1기때도 관세폭탄이 있었으며 중국간 무역전쟁이 본격화 되면서 반사이익으로 국내기업들 중 반도체, 철강, 배터리 관련주들이 상승했었습니다.
트럼프 2기 관세 정책에 따른 반도체, 철강, 배터리관련주를 알아보겠습니다.

★ 반도체 관련주
▶ 삼성전자

미국의 대중(對中) 반도체 규제가 강화될 경우, 삼성전자의 미국 내 반도체 공장 가동과 글로벌 점유율
확대가 기대됩니다.
▶ SK하이닉스

중국 의존도가 높은 반도체 공급망이 재편되면, SK하이닉스의 미국 및 유럽향 수출이 증가할 가능성이
큽니다.
▶ 한미반도체

반도체 장비 기업으로, 미국의 반도체 자급화 정책에 따라 국내 기업들의 생산 확대 시 수혜가 예상됩니다.
★ 철강 관련주
▶ 포스코홀딩스

미국이 중국산 철강 제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면, 포스코의 글로벌 철강 수출 증가와 수익성 개선이
기대됩니다.
▶ 현대제철

미·중 무역 갈등 속에서 미국 시장 내 한국 철강업체들의 점유율 확대 가능성이 높아질 전망입니다.
▶ 세아제강

중국산 철강 제품이 미국 시장에서 배제될 경우, 국내 강관 제조업체인 세아제강이 대체 공급자로
주목받을 수 있습니다.
★ 배터리 관련주
▶ LG에너지솔루션

미국 전기차 산업 보호 정책과 맞물려, 중국산 배터리 견제가 강화되면 LG에너지솔루션의 북미 시장
경쟁력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 SK이노베이션

미국 전기차 배터리 공장 운영 확대와 중국 배터리 견제 정책이 맞물려 수혜를 볼 가능성이 큽니다.
▶ 켐트로스

배터리 핵심 소재 기업으로, 중국산 배터리 원자재 수입이 제한되면 국내 소재업체들의 점유율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트럼프 2기 관세정책이 국내 산업에 미칠 영향을 면밀히 분석하며, 반사이익을 받을 종목들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중국에 대한 견제 정책이 다시 시행될 경우 반도체, 철강, 배터리 관련주들이 또 다시상승할 가능성이
큽니다.
※ 제 블로그의 글은 참고 자료로만 활용되며 어떠한 경우에도 투자 결과에 대한 손실 책임은 투자한 사람에게 있습니다.
'경제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명 AI 추경 적극 협조 관련주 알아보기 (1) | 2025.02.01 |
---|---|
미국 AI 시장 강타한 중국 딥시크 국내 관련주 뭐 있나 (0) | 2025.01.28 |
트럼프 당선 국내 수혜주 추천 투자전략 알아보기 (7) | 2024.11.06 |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국내 주식 시장 변화 예측 (6) | 2024.11.04 |
ETF 뜻 투자방법 초보자를 위한 가이드 (0) | 2024.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