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보건복지부는 2025년도 기초연금 선정 기준액을

단독가구는 지난해 대비 15만원 인상된 228만원, 부부가구는

24만 오른 3648천원으로 인상한다고 밝혔습니다.

 

목 차

1. 기초연금 소개

2. 기초연금 수급자격

3.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4. 기초연금액 인상률

1. 기초연금 소개

기초연금은 노후의 소득을 보장하고 안정된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 기초연금은

국민연금과 함께 노후 소득 보장을 위한 양대 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현재의 심각한 노인빈곤문제를 해결하고, 초고령사회에 미래세대의 부담을

덜어주고 노후에 안정된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기초연금

제도를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2. 기초연금 수급 자격

초연금 수급자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65세 이상 노인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인 자

 

기초연금 수급을 위해서는 만 65세 생일이 속하는 달 1개월 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기초연금 신청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신청은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 또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 방문,

인터넷, 모바일 앱을 통해 가능합니다.

 

3.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기초연금 수급 여부는 소득인정액을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소득인정액은 소득과 재산을 합한 금액에서 부양가족 가산액과

부양의무자 범위 등을 제외한 금액을 말합니다.

 

 

 

2025년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독가구: 228만원

부부가구: 364.8만원

 

 

정부는 65세 이상 노인 중 하위 70%가 기초연금을 수급할 수 있도록

소득·재산 수준, 생활 실태,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해 매년 선정 기준액을

결정하고 있습니다.

 

 

본인의 소득인정액을 알고싶으신분은 아래 소득인정액 모의계산 바로

가기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모의계산 바로 가기

4. 기초연금 인상률

기초연금액은 매년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하여 인상됩니다.

2025 기초연금액은 2024년 대비 2.3% 인상됩니다.

 

단독가구는 월 342천원, 부부가구는 월 237천원을 지급받게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우리나라가 2025년 전반기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 이상이 되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할 것으로

예상 합니다.

인구 5명중 1명이 노인이라 이에대한 대책이 다방면으로 강구되고는 있지만 국가의 정책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부모 공양과 자식 뒷바라지에 헌신했던 현재의 시니어들에게는 65세 이상에도 일자리를 찾아야만 될 수밖에 없는 경제적 여건이 존재 합니다.

2025년 정책들을 바탕으로 시니어 일자리 정보에 대하여 첫 번째로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노인들의 활기찬 노후생활과 사회참여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는 정책사업인

노인일자리 신청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방문 신청

장소: 가까운 행정복지센터, 노인복지관, 대한노인회, 시니어클럽 등

노인일자리 사업 수행 기관(전국 1,308개의 수행기관에서 신청 가)

온라인 신청

노인일자리 온라인신청 바로가기

 

노인일자리 검색 및 지원에서 바로가기를 클릭 합니다.

거주하시는 지역구를 입력 합니다.

모집공고 목록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자리 유형

유형별로 참여연령, 활동내용, 활동기간, 활동시간, 활동비는 아래와 같습니다.

노인공익활동사업

거리 환경 지킴이, 학교 교통 안전 지킴이 등 지역사회 봉사 활동

을 합니다.

노인역량활용사업

보육, 노인, 장애인, 공공기관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어르신들의 역량을 활용 합니다.

공동체사업단

취업알선형

시니어인턴십

 

 

신청 절차

2025년 노인일자리 사업이 초고령사회와 신노년세대의 다양한 수요에 대응

하기 위해 최대 규모로 확대 되었습니다.

2025년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를 2024122일부터

27일까지 모집중에 있사오니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2024년도 국민연금은 전년도인 2023년의 물가 변동률을 반영해

2023년보다 3.3% 인상률이 적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공적연금 즉 국민연금, 기초연금,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

등 수급자는 2023년도보다 3.3% 더 많은 연금액을 탈 것으로

보입니다.

 

목 차

1. 국민연금 소개

2. 국민연금 인상률

3. 국민연금 수령액

1. 국민연금 소개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공단(출처:연합뉴스)


가입자, 사용자 및 국가로부터 일정액의 보험료를 받고 노령연금,

유족연금, 장애연금 등을 지급함으로써 국가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사회보장제도의 하나입니다. 노령으로 인해  비경제활동인구

되었을 때 연금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1.1 노령연금

노령연금은 국민연금 가입자가 최소 10년이상(120개월) 연금보험료를

납부하였을 경우 만 65세 이후 부터 평생동안 매월 연금을

지급받는 것입니다.

 

1.2 유족연금

유족연금은 연금을 받던 도중  배우자가 사망할 경우 지급받게 되는

연금. 보통 남편이나 아내 둘 중 1명이 1순위가 되며 둘 다 사망할

경우 자녀,부모,손자녀,조부모순 으로 우선순위를 가진다.

기본적으로 사망한 가입자의 가입 기간에 따라 10년 미만 40%,

10~20년 미만은 50%, 20년 이상은 60%를 지급한다

 

1.3 장애연금

장애연금은 국민연금 가입중에  장애(질병)가 발생한 경우 연금이

지급됩니다. 장애정도에 따라 1~4급으로 나뉘며 1~3급은 매월 연금으로

4급은 일시금으로 지급됩니다

 

2. 국민연금 인상률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공단(출처:중앙일보)


국민연금은 관련 법령에 따라 지난해 소비자 물가상승률(3.3%)을 반영해

올리게 돼 있어 이달 25일 지급분부터 인상률이 반영됩니다.

 

이달 25일 국민연금 수급자 648만여명(지난해 9월 기준)의 연금액도

3.3% 올라갑니다. 이들의 평균 연금액 기준으로 지난해

619715원에서 이달 642020원으로 오릅니다. 20년 이상 가입한

수급자의 평균 연금액도 1036310원에서 1073620원으로

오르고 최고 연금액도 2664660원에서 276590원이 됩니다.

 

3. 국민연금 수령액

연금1(출처:픽사베이)
연금2(출처:픽사베이)
연금3(출처:픽사베이)

본인의 국민연금 수령액을 알고싶으신분은 아래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바로 가기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바로 가기

연금4(출처:픽사베이)
연금5(출처:픽사베이)
연금6(출처:픽사베이)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보건복지부는 새해 112024년도 기초연금 선정 기준액을

단독가구는 지난해 대비 11만원 오른 213만원, 부부가구는

176천원 오른 3408천원으로 인상한다고 밝혔습니다.

 

목 차

1. 기초연금 소개

2.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3. 기초연금 수급자격

4. 기초연금액 인상률

1. 기초연금 소개

기초연금 1
기초연금 1(출처:다음백과)


기초연금은 노후의 소득을 보장하고 안정된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 기초연금은

국민연금과 함께 노후 소득 보장을 위한 양대 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현재의 심각한 노인빈곤문제를 해결하면서, 미래세대의 부담을

덜어드리고 노후에 안정된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기초연금

제도를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2.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2024 기초연금 산정 기준액
2024 기초연금 산정 기준액(출처:보건복지부)


기초연금 수급 여부는 소득인정액을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소득인정액은 소득과 재산을 합한 금액에서 부양가족 가산액과

부양의무자 범위 등을 제외한 금액을 말합니다.

 

2024년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독가구: 213만원

부부가구: 340.8만원

 

기초연금 지급 기준을 산정할 때 반영하는 고급 자동차 기준

중 배기량 3000cc 이상이라는 항목은 폐지됐습니다. 배기량

3000cc 이상 차량을 소유한 노인도 소득인정액이 기준에 못

미치면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부는 65세 이상 노인 중 하위 70%가 기초연금을 수급할 수 있도록

소득·재산 수준, 생활 실태,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해 매년 선정 기준액을

결정하고 있습니다.

 

본인의 소득인정액을 알고싶으신분은 아래 소득인정액 모의계산 바로

가기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모의계산 바로 가기

3. 기초연금 수급 자격

기초연금 2
기초연금 2(출처:아시아타임즈)


초연금 수급자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65세 이상 노인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인 자

 

기초연금 수급을 위해서는 만 65세 생일이 속하는 달 1개월 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기초연금 신청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신청은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 또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 방문,

인터넷, 모바일 앱을 통해 가능합니다.

4. 기초연금액 인상률

기초연금 3(출처:jibs)
기초연금 4(출처:여성신문)
기초연금 5(출처:KBS)

 

기초연금액은 매년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하여 인상됩니다. 2024

기초연금액은 2023년 대비 3.3% 인상되었습니다.

 

단독가구는 월 334천원, 부부가구는 월 232천원을 지급받게

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