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회로이론 7번째로 전압원과 전류원의 개념, 종류, 특성, 그리고 실제
회로에서의 응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전압원(Voltage Source)
전압원은 전기 회로에서 일정한 전압을 공급하는 소스입니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발전기 등이 전압원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전압원은 두 가지 주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① 고정된 전압 유지: 전압원은 그 양단에 일정한 전압을 유지합니다.
예를 들어, 12V 배터리는 회로의 상태와 관계없이 12V의 전압을
유지하려고 합니다.
② 내부 저항: 이상적인 전압원은 내부 저항이 0이라고 가정합니다.
하지만 실제 전압원은 작은 내부 저항을 가지고 있어, 부하의
변화에 따라 출력 전압이 약간 변할 수 있습니다.
1.1. 전압원의 종류
전압원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① 직류 전압원(DC Voltage Source): 시간이 지나도 전압의 크기와 방향이
일정한 전압원입니다. 배터리가 대표적입니다.
② 교류 전압원(AC Voltage Source): 시간이 지나면서 전압의 크기와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하는 전압원입니다. 가정용
전기가 여기에 해당됩니다.
1.2. 이상적인 전압원과 실제 전압원
이상적인 전압원은 내부 저항이 없고 항상 일정한 전압을 공급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내부 저항이 존재하며, 부하가 증가할수록 출력 전압이 조금씩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실제 전압원의 전압 강하라고 불립니다.
2. 전류원(Current Source)
전류원은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는 소스입니다. 전류원은 전기 회로에서 일정한
전류를 유지하려고 합니다. 전류원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고정된 전류 유지: 전류원은 회로의 임피던스에 상관없이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려고 합니다. 이는 부하가 변화해도 공급되는
전류는 일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② 내부 저항: 이상적인 전류원은 내부 저항이 무한대라고 가정합니다.
실제 전류원은 매우 높은 내부 저항을 가지고 있습니다.
2.1. 전류원의 종류
전류원도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① 직류 전류원(DC Current Source): 일정한 크기의 전류를 계속해서
공급하는 전류원입니다.
② 교류 전류원(AC Current Source): 주기적으로 크기와 방향이 변하는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원입니다.
2.2. 이상적인 전류원과 실제 전류원
이상적인 전류원은 내부 저항이 무한대로, 전압에 관계없이 일정한 전류를
유지합니다. 하지만 실제 전류원은 내부 저항이 크지만 무한대는 아니며,
부하에 따라 공급 전류가 약간 변할 수 있습니다.
3. 전압원과 전류원의 상호 변환
회로이론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전압원과 전류원의 상호 변환입니다.
이를 통해 하나의 회로를 다른 방식으로 해석하거나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 변환에는 노턴의 정리와 테브난의 정리가 사용됩니다.
다음 글에 노턴의 정리와 테브난의 정리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전기 > 전기산업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로이론 6 유도결합회로 (0) | 2024.07.08 |
---|---|
회로이론 5 교류 기본회로 2 (1) | 2024.06.03 |
회로이론 4 교류 기본회로 (0) | 2024.05.24 |
회로이론 3 교류 파형 (0) | 2024.04.29 |
회로이론 2 배율기 분류기 키르히호프법칙 (0) | 2024.04.17 |